/pic202004.jpg)
Image courtesy of boardgamegeek.com's Carsten ◄► Wesel
카드 게임은 게임판이 있는 게임들에 비해 규칙이 간결하고 휴대하기에 좋습니다. 그래서 게임판이 있는 게임을 선호하는 게이머이더라도 카드 게임은 몇 가지 정도는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카드 게임을 많이 만드는 회사라고 하면 전통의 강호 Amigo 아미고 社가 있습니다만 또 한쪽에는 묵묵히 다양한 카드 게임들을 출시하고 있는 Abacus 아바쿠스 社도 있습니다. 아바쿠스에는 뭐니뭐니 해도 Tichu 티츄를 꼽을 수 있겠지만, 오늘은 Coloretto 컬러레또를 거쳐 Serengeti 세렝게티를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.
저는 아바쿠스 사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게임 중 하나가 컬러레또라고 생각을 합니다. 컬러레또의 디자이너는 Michael Schacht 미하엘 샤흐트 씨인데, 그는 꽤나 다양한 게임들을 만들어 왔습니다만 Coloretto만큼 강한 인상을 준 게임은 많지 않았습니다. 컬러레또가 있었기에 그것의 파생작품인 Zooloretto 줄로레또와 Aquaretto 아쿠아레또가 탄생할 수 있었으니까요.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대로, 줄로레또가 2007년 '올해의 게임상'을 수상으로 미하엘 샤흐트 씨와 아바쿠스에 큰 영광을 가져다 주었습니다.
미하엘 샤흐트 씨의 카드 게임 중에 주목할 만한 게임을 한 가지 더 꼽자면 그것은 Serengeti 세렝게티입니다. 이 게임의 원래 이름은 Don 돈으로서, 2001년에 출시된 마피아 테마의 게임이었습니다. 그리고 나서 2006년에 테마와 이름이 바뀌고 (심지어 퍼블리셔도 바뀌고) 재판되었습니다. 세렝게티는 탄자니아와 케냐에 걸쳐 있는 넓은 땅을 가리키는 말인데, 플레이어들은 이 게임에서 아프리카 공예품을 수집하여 점수를 얻습니다.
/pic190381.jpg)
Image courtesy of boardgamegeek.com's Nick Fisk
게임의 구성물은 6가지 색깔로 된 공예품 카드 30장과 플라스틱 칩 65개가 전부입니다. 각 카드마다 숫자와 색깔이 있는데, 이것들은 게임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각 플레이어는 플라스틱 칩 10개를 받고 게임을 시작합니다.
게임은 총 15번의 라운드 동안 진행이 됩니다. 각 라운드는 다음 두 단계로 구성이 됩니다.
- 경매 품목 카드 뽑기
- 경매 진행하기
각 라운드마다 카드 더미에서 정해진 수의 카드를 뽑아서 공개합니다. 그 수는 세 라운드마다 1장-2장-3장을 반복하게 되어, 첫 번째 라운드에서 1장, 두 번째 라운드에서 2장, 세 번째 라운드에 3장, 네 번째 라운드에서 다시 1장을 뽑게 됩니다.
2. 경매 진행하기
경매 물품이 공개되면 경매 시작 플레이어 (이전 경매 낙찰자)부터 경매에 참여가기 위해 입찰 가격을 올리거나 혹은 그 물품에 대한 입찰을 포기해야 합니다. 만약 어떤 플레이어가 경매에서 입찰을 전혀 하지 않고 패스를 했다면 은행에서 칩 2개를 받고 그 경매에서 빠집니다. 1명의 플레이어가 남을 때까지 그 경매 품목에 대한 입찰을 계속하고 그 플레이어가 자신의 입찰 금액만큼의 플라스틱 칩을 지불합니다.
경매 낙찰자가 지불하야 하는 칩은 나머지 플레이어 중 일부/또는 전부에게 나눠줍니다. 누가 가져가느냐는 나머지 플레이어들이 게임 중에 획득한 그 숫자의 카드 장수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낙찰 가격과 같은 숫자의 카드를 가진 나머지 플레이어들이 없다면 나머지 플레이어들이 낙찰자가 지불한 칩을 골고루 나눠가지고, 나누고 난 나머지는 은행에 버립니다.
- 낙찰 가격과 같은 숫자의 카드를 가진 나머지 플레이어가 한 명뿐이라면 그 플레이어가 낙찰자가 지불한 칩을 모두 가져갑니다.
- 낙찰 가격과 같은 숫자의 카드를 가진 나머지 플레이어가 여러 명이라면 낙찰자가 지불한 칩을 그 플레이어들은 그 비율만큼씩 가져갑니다. 예를 들어서, '7' 카드를 칩 9개로 낙찰을 받았다면, 나머지 플레이어들 중에서 '9' 카드 2장이 있는 플레이어는 그 칩 9개 중 6개를 가져가고, '9' 카드 1장이 있는 플레이어는 남은 3개를 가져갑니다.
입찰 제한
세렝게티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 이 입찰에 대한 제한 규칙입니다. 플레이어들은 입찰을 할 때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카드에 있는 숫자를 부를 수 없습니다. 따라서 카드를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자신이 부를 수 있는 입찰 가격의 숫자의 폭이 줄어들게 됩니다. 만약 어떤 플레이어가 이 규칙을 어기면 벌칙으로 칩 1개를 은행에 지불해야 합니다. 입찰할 때에 두 자리 숫자가 되면 '일의 자리'의 수가 제한되는 숫자가 됩니다. 예를 들어서, '0' 카드를 가지고 있으면 '10', '20' 등을 부르면 안 됩니다.
하지만 카드가 많을수록 유리한 점도 있습니다. 다른 플레이어가 낙찰에 대한 칩을 지불할 때 그 칩 개수와 같은 숫자의 카드가 많으면 자신이 가져갈 칩의 몫이 많아지게 되기 때문입니다.
점수
30장의 카드가 다 떨어지게 되는 15번째 라운드 이후에 게임이 끝납니다. 플레이어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카드들을 색깔별로 분류를 해서 각 색깔의 세트의 카드 수에 따라 점수를 획득합니다. 1/2/3/4/5장짜리 세트는 각 1/3/6/10/15점입니다. 게임이 끝나고 칩이 가장 많은 플레이어(들)는 추가로 3점을 얻습니다. 총 점수가 가장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하고, 타이-브레이크는 순서대로 카드의 장수, 칩의 수입니다.
총 평가
항상 그랬듯이 저의 리뷰에서는 숫자 평점이나 별점은 사용하지 않습니다.
/pic229397.jpg)
Image courtesy of boardgamegeek.com's Michael Schacht
세렝게티에는 여러 게임에서 등장했던 게임 방식들이 혼재되어 있습니다. 경매 낙찰금을 나머지 플레이어들이 나눠가지는 것은 Dream Factory 드림 팩토리의 것과 같고, 게임의 종료 후에 각 세트마다의 점수 합산 방식은 디자이너 자신의 컬러레또와 똑같습니다. 하지만 경매에서의 입찰 제한과, 낙찰금을 나눠가지는 비율의 변화는 참신하다고 생각합니다. 이러한 특징이 플레이어들이 입찰을 할 때에 항상 긴장을 하게 만들어서 적은 인원수로도 탄탄한 경매 분위기가 만들어집니다.
플레이어들은 게임 내내 상대가 경매에서 더 많은 돈을 지불하게 하는 것뿐만이 아니라, 다양한 숫자의 카드를 획득하게 만들어서 이후의 경매에서 부를 수 있는 입찰 숫자를 제한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을 역으로 이용하면, 자신이 원하는 색깔의 카드를 낮은 가격으로 얻을 수 있고 또 낙찰자가 지불하는 칩을 더 유리한 비율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세렝게티는 플레이어들의 선택과 관련된 훌륭한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.
구성물이 간단한 만큼 규칙도 간단하고 게임의 흐름이 직관적인 편이기 때문에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들과 함께 할 때에도 좋습니다. 아쉬운 점을 꼽자면, 룰북의 설명이 꽤 자세한 편이어서 규칙의 양만 보고 어려운 게임으로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.
세렝게티는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을 뿐더러, 아프리카의 테마이기 때문에 눈에 쉽게 들어오는 게임은 아닙니다. 하지만 게임은 실제로 해봐야 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해준 진흙 속의 숨은 진주와 같은 게임이었습니다.
참고 사이트:
Serengeti @ boardgamegeek.com
http://boardgamegeek.com/boardgame/1376/don
ABACUSSPIELE
http://www.abacusspiele.de